스마트장기요양 앱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장기요양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요양보호사와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서비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필수 도구입니다. 본 글에서는 스마트장기요양 앱의 설치 방법부터 사용법까지 상세하게 안내하여,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목차
스마트장기요양 앱이란?

스마트장기요양 앱은 요양보호사가 어르신 댁에 방문하여 제공한 요양 서비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 앱은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과 연동되어 가정방문급여의 제공내용을 무선주파수인식기술로 관리하며, 급여비용 청구와도 연계되는 통합 시스템입니다.
- 푸시 알림 서비스: 가정방문서비스 내용(서비스 시작·종료)에 대한 실시간 알림을 제공합니다.
- 급여제공기록지 제공: 앱에서 급여제공기록지를 전자적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 급여계약 내용보기: 장기요양서비스 계획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 설치 방법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Play 스토어에 접속하여 ‘스마트장기요양’을 검색한 후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앱스토어에서는 현재 설치가 불가능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https://www.longtermcare.or.kr)를 통해 설치해야 합니다. 홈페이지의 ‘기관서비스’ 섹션에서 ‘iOS용 설치’ 메뉴를 찾아 QR코드를 스캔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앱 사용 설정
본인인증 및 비밀번호 설정
앱 설치 후에는 본인인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인증번호 요청을 하면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6자리 인증번호가 발송되며, 이를 입력한 후 생년월일 8자리를 추가로 입력해야 합니다.
비밀번호는 숫자, 영문,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10~15자리로 설정해야 하며, 약관동의 시에는 각 항목의 상세보기를 완료해야 진행이 가능합니다.
사용 대상자
스마트장기요양 앱은 수급자 본인 또는 가족 중 재가기관과 급여계약을 체결한 계약자 1명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족은 배우자,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 직계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직계혈족 및 배우자의 형제자매를 포함합니다.
앱 사용 시 주의사항
등록 요구사항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담당 재가센터에 통보대상자 등록을 요청해야 합니다.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장기요양기관에 등록된 휴대폰이 아닙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이 제한됩니다.
태그 인증 시스템
요양보호사는 서비스 시작과 종료 시 RFID 태그에 스마트폰을 접촉하여 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 이는 QR태그를 이용한 본인 방문 인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스마트장기요양 앱은 현재 약 50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장기요양 서비스의 핵심 도구입니다. 비록 평점이 2.8점으로 낮은 편이지만, 장기요양 서비스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