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기사는 발언 내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기록하는 전문 인력으로, 국회, 법원, 검찰 등 공적 기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한글속기 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증으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며, 1급부터 3급까지 세 가지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속기사 자격시험의 급수별 시험과목과 출제 기준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한글속기 자격증

한글속기 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증으로 분류되며,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도전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필기시험 없이 실기시험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 2회 실시됩니다.
급수별 난이도와 활용 분야
- 1급은 최고 난이도로 분당 300타 이상의 속도와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며, 법원과 국회 등 전문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2급은 중급 수준으로 분당 200타 이상을 목표로 하며 일반 회의나 강연 기록에 적합합니다.
- 3급은 입문 수준으로 분당 140타 이상을 요구하며 기초적인 속기 업무에 사용됩니다.
급수별 시험과목 상세 정보
1급 시험과목
1급 시험은 두 가지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연설체: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연설체 회의록 중 1,650자 분량을 5분간 낭독
- 논설체: 정기간행물 및 종합 일간지의 논설, 칼럼 중 1,500자 분량을 5분간 낭독
2급 시험과목
2급 시험 역시 두 과목으로 진행됩니다:
- 연설체: 1,500자 분량의 연설문을 5분간 낭독
- 논설체: 1,350자 분량의 논설문을 5분간 낭독
3급 시험과목
3급 시험은 입문자를 위한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연설체: 1,350자 분량의 연설문을 5분간 낭독
- 논설체: 1,200자 분량의 논설문을 5분간 낭독
시험 진행 방식과 합격 기준
시험 시간 구성
2024년부터 출제기준이 변경되어 모든 등급과 시험과목에 번문시간 10분이 추가로 적용됩니다. 기존에는 낭독시간 5분과 수정시간 20분이었으나, 현재는 속기시간 5분과 번문시간 10분으로 운영됩니다.
합격 기준
모든 급수에서 두 과목 모두 정확도 90% 이상을 달성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정확도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전체자수 – 틀린 개수) / 전체자수) × 100
- 틀린 개수 = 오자수 + 탈자수 + (첨자개수/3)
수험용 프로그램과 준비 방법
허용 프로그램
시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험용 프로그램은 제한적입니다:
- CAS
- 소리자바
- KS표준속기겸용키보드(문화콘텐츠개발원)
- 기타 속기 프로그램이 내장된 속기용 키보드
준비 기간과 방법
속기사 자격증 준비 기간은 개인 역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 6개월에서 최대 1-2년 정도 소요됩니다. 독학으로 준비하거나 전문 학원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한국속기학원, 신촌속기학원 등이 잘 알려진 교육기관입니다.
시험 일정 정보
한글속기 자격증 시험은 연 2회 실시되며, 2024년에는 3월 30일과 9월 7일에 각각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매년 비슷한 시기에 시험이 진행되므로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속기사 자격증은 높은 난이도를 요구하지만, 체계적인 준비와 꾸준한 연습을 통해 충분히 취득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특히 공무원이나 전문 속기사로의 진출을 목표로 한다면 상위 등급 취득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