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보건복지상담센터는 국민들이 보건복지 관련 어려움에 처했을 때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핵심적인 공공서비스입니다. 전국 어디서나 국번 없이 129번만 누르면 연결되는 이 서비스는 2005년 개소 이후 지금까지 수많은 국민들에게 희망의 통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건복지상담센터의 주요 서비스와 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보건복지상담센터란 무엇인가

보건복지상담센터는 2005년 11월에 개소한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으로, 위기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용자 중심의 보건복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희망의 전화 129’라는 슬로건으로 운영되며, 보건복지 관련 업무에 관한 궁금한 사항이나 학대, 자살, 응급의료 등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와 상담을 제공합니다.
센터는 ‘위험할 땐 119, 힘겨울 땐 129’라는 슬로건을 통해 국민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으며, 실직, 질병 등으로 생계가 어려울 때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지제도에 대한 궁금증 해결에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129 상담센터 주요 서비스 분야
긴급복지지원 및 복지사각지대 발굴
보건복지상담센터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긴급복지지원과 복지사각지대 발굴입니다. 실업, 노령, 장애, 질병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이웃들을 위한 신속한 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24시간 365일 상담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보건의료 상담
의료정책, 의료인 면허 민원 안내, 공공보건정책, 건강보험정책, 건강정책 등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 상담을 제공합니다. 특히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암환자 및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학대 및 자살예방 상담
아동학대, 노인학대 신고 및 상담, 자살예방 긴급전화 등의 서비스를 24시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2년 3월부터는 자살예방긴급전화 및 상담센터도 보건복지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담 이용 방법 및 운영시간
전화 상담
전국 어디서나 국번 없이 129번으로 전화하면 됩니다. 2020년 1월 2일부터는 통신요금 부담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상담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상담: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 긴급상담: 24시간 365일 (긴급복지지원, 복지사각지대, 자살, 학대, 정신건강 상담)
모바일 앱 서비스
‘129 보건복지부’ 앱을 통해 영상(수어) 상담, 채팅 상담, 카카오톡 상담, 챗봇 상담 등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앱은 2025년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공공서비스 분야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상담 분야별 번호 안내
129번으로 전화하면 다음과 같은 번호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번: 긴급복지지원, 복지사각지대
- 2번: 보건의료, 의료인 등 면허 자격, 재난적의료비 지원
- 3번: 출산, 아동, 청년, 기초연금
- 4번: 노인, 장애인, 장기요양제도
- 5번: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자활사업
- 6번: 정신건강제도, 노인학대
- 7번: 아동학대
- 0번: 그 외 상담사 연결
보건복지상담센터의 성과와 현황
보건복지상담센터는 개통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2014년까지 8년간 총 790만 건의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개통 당시 월간 2만 7천여 건이던 상담 건수는 2014년에는 13만여 건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현재는 매년 165만 건 이상의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이 본격화된 시기에는 긴급지원 상담이 약 3.5배 증가하는 등 국민들의 실질적인 도움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는 국민들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언제든지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무료 상담 서비스와 24시간 긴급 대응 체계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국민 복지 실현에 기여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