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농업e지 쌤 사이버 연수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농업인들에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농업 경영을 지원하며, 특히 농업e지 쌤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e지 시스템의 활용법을 교육합니다.
농업e지 쌤이란 무엇인가?

농업e지 쌤은 농업e지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농업인들을 돕는 교육 멘토입니다. 이들은 디지털 정보에 익숙하지 않은 농업인들에게 본인인증 방법이나 시스템 사용법을 안내하는 조력자 역할을 합니다.
농업e지 쌤 사이버 연수원의 주요 교육 과정
농업e지 쌤 사이버 연수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1. 농업e지 쌤 등록 과정 [STEP 1]

이 과정은 농업e지 쌤으로 등록하기 위한 첫 단계로, 농업e지 쌤의 역할과 활동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2. 농업e지 쌤 활동가 과정 [STEP 2]

등록 과정을 수료한 후, 활동가로서의 심화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실제 현장에서의 교육 방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룹니다.
농업e지 쌤의 역할과 중요성
농업e지 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 교육 멘토: 디지털 정보에 익숙하지 않은 농업인들에게 농업e지 시스템의 사용법을 교육합니다.
- 정보 전달자: 농업e지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최신 농업 정보를 주변 농업인들에게 전달합니다.
- 디지털 전환 촉진자: 농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여 농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입니다.
농업e지 쌤이 되기 위한 절차
농업e지 쌤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회원가입: 농업e지 사이버 연수원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 교육 과정 수료: “농업e지 쌤 대상자 교육과정”을 수료합니다.
- 활동 시작: 교육 과정을 수료한 후, 주변 농업인들에게 농업e지 사용법을 교육하는 활동을 시작합니다.
농업e지 쌤의 모집 대상
디지털 기기에 능숙한 농업인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주요 모집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장실습교육교수(WPL)
- 전문농업경영인(마이스터)
- 신지식농업인
- 청년후계농, 후계농, 우수후계농
- 한국정보화농업인중앙연합회원
- 마을의 이·통장
- 귀농·귀촌인
농업e지 쌤의 활동 혜택
농업e지 쌤으로 활동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이 주어집니다.
- 강사활동비 지급: 교육 완료 시 기준에 따라 강사활동비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전문성 향상: 디지털 농업 교육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구축: 다양한 농업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농업e지 쌤의 활동 사례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마이스터 청년후계농 박덕수 씨는 농업e지 쌤으로 활동하며, 주변 농업인들에게 농업e지 시스템의 사용법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그는 “고령 농업인들이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농업e지 쌤의 도움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맺음말
농업e지 쌤 사이버 연수원은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농업인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중요한 플랫폼입니다. 특히, 농업e지 쌤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농업인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농업 경영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농업e지 쌤 사이버 연수원의 교육 과정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