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 및 창업지원금

농업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사회의 근간을 이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농촌 고령화청년층의 도시 집중으로 인해 농업 인력의 세대 교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상남도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을 통해 젊은 인재들의 농업 분야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이란?

경남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 및 창업지원금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만 18세 이상부터 만 40세 미만독립 경영 3년 이하 청년 농업인들에게 최대 3년간 월 최대 11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영농 초기의 소득 불안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농업 정착을 돕고자 합니다.

지원 내용 및 혜택

1. 영농정착지원금

  • 지원 기간: 최대 3년
  • 지원 금액:
    • 1년 차: 월 110만 원
    • 2년 차: 월 100만 원
    • 3년 차: 월 90만 원

2. 영농창업자금 지원

  • 대출 한도: 세대당 최대 5억 원
  • 대출 조건: 연 금리 1.5%, 5년 거치 20년 원금 균등분할 상환
  • 용도: 농지 구입, 시설 설치 및 구입 등

3. 추가 지원

  • 농지 임대 우선 지원: 농지 확보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농지은행을 통한 임대 지원
  • 영농기술 교육 및 경영 컨설팅: 영농 기술 향상경영 능력 배양을 위한 전문 교육 및 상담 제공

신청 자격 및 절차

신청 자격

  • 연령: 만 18세 이상 ~ 만 40세 미만
  • 영농 경력: 독립 경영 예정자 또는 독립 경영 3년 이하인 자
  • 거주지: 경상남도 내 거주자
  • 소득 및 재산: 일정 기준 이하인 자

신청 절차

  1. 온라인 신청: 농림사업정보시스템(www.agrix.go.kr)을 통해 신청서 제출
  2. 서류 평가: 제출된 서류를 기반으로 1차 평가 진행
  3. 면접 평가: 서류 평가 합격자를 대상으로 면접 실시
  4. 최종 선발: 종합 평가를 통해 최종 대상자 선정

경남도의 청년농업인 지원 노력

경상남도는 청년들의 농업 분야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 사업: 청년 농업인의 창업 활성화와 조기 경영 안정화를 위해 생활안정자금, 창업자금, 농지 임대, 영농기술 교육, 경영 컨설팅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지원사업: 미래 농업인력의 주축이 될 청년들을 선정하여 농지 구입 및 임차, 시설 자금, 정보화 교육 등 창업 기반 조성을 위해 지원합니다.
  • 청년농업인 취농직불제 사업: 국비 사업 범위에서 제외되는 청년 농업인에게 바우처를 지원하여 생활안정을 돕습니다.
  • 취농인턴제 사업: 영농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농업법인, 선도농가 등에서 실무 연수를 통해 영농 정착 동기 부여와 경영 비법 전수를 지원합니다.
  • 경영실습임대농장 조성사업: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시설하우스를 임대하여 시설 운영 경험과 기술 습득을 지원합니다.
  • 청년후계농업인 농지임차료 지원사업: 청년 후계농 선발자가 농지은행을 통해 농지를 임차할 경우 임차 비용의 80%를 지원합니다.
  • 컨설팅 지원: 전문 상담가를 활용하여 찾아가는 영농 현장 맞춤형 상담을 지원합니다.
  • 해외현장연수: 청년 농업인들이 스마트 농업인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해외 교육을 지원합니다.

청년농업인들의 성공 사례

김영민 씨는 2022년에 청년후계농으로 선발되어 영농정착지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그는 지원금을 활용하여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딸기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수진 씨는 2021년에 청년후계농으로 선정되어 지원금을 받아 친환경 채소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지역 로컬푸드 매장과의 협력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며,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경남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젊은 인재들의 농업 분야 진출을 촉진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들은 이 기회를 통해 안정적인 영농 정착성공적인 농업 경영을 이룰 수 있습니다.